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콜라비 깍는법 및 맛있게 먹는법
    카테고리 없음 2025. 2. 11. 17:20

    콜라비는 아삭한 식감과 은은한 단맛이 특징인 채소로, 샐러드부터 요리까지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. 하지만 겉껍질이 단단해 처음 접하는 사람들은 어떻게 깎고 먹어야 할지 고민할 수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콜라비 깎는 법과 맛있게 먹는 방법을 상세히 소개하겠습니다.

     

    1. 콜라비란? 영양과 효능

    콜라비(Kohlrabi)는 양배추와 순무의 중간 형태를 가진 채소로, 비타민 C와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건강식으로도 인기 있습니다.

    콜라비의 주요 효능

    • 면역력 강화: 비타민 C가 풍부해 감기 예방과 면역력 증진에 도움을 줍니다.
    • 소화 건강 개선: 풍부한 식이섬유가 장 건강을 돕고 변비를 예방합니다.
    • 저칼로리 다이어트 식품: 100g당 약 27kcal로 칼로리가 낮아 다이어트 식단에 적합합니다.
    • 혈당 조절: 혈당 지수를 낮추는 데 도움을 줘 당뇨 예방에도 효과적입니다.

     

    2. 콜라비 깎는 법 (손질하는 방법)

    콜라비는 겉껍질이 단단하기 때문에 제대로 깎는 방법을 알면 더욱 쉽게 손질할 수 있습니다.

    콜라비 깎는 순서

    • 깨끗이 세척: 흐르는 물에 콜라비를 씻고, 흙이나 잔여물을 제거합니다.
    • 양 끝 부분 자르기: 칼로 윗부분(줄기 부분)과 아랫부분(뿌리 부분)을 잘라줍니다.
    • 껍질 제거: 감자칼(필러)이나 칼을 사용해 단단한 껍질을 벗깁니다.
    • 필러를 사용하면 얇게 깎을 수 있어 식감이 부드럽습니다.
    • 칼을 사용할 경우, 껍질이 두꺼우므로 조금씩 돌려가며 깎는 것이 좋습니다.
    • 먹기 좋은 크기로 썰기: 용도에 맞게 채썰기, 깍둑썰기, 슬라이스 등으로 잘라줍니다.

    👉 Tip! 콜라비는 껍질을 벗긴 후 바로 먹어야 신선한 식감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. 보관할 경우 밀폐용기에 넣고 냉장 보관하세요.

     

     

    3. 콜라비 맛있게 먹는 법

    콜라비는 생으로 먹어도 좋고, 다양한 요리에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.

    1) 생으로 먹기 (샐러드 & 스틱)

    • 콜라비 샐러드: 채 썬 콜라비에 올리브오일, 레몬즙, 소금을 살짝 뿌려 샐러드로 즐길 수 있습니다.
    • 스틱으로 간식처럼: 당근처럼 길게 썰어 요거트 소스나 허니머스터드에 찍어 먹으면 아삭한 식감을 즐길 수 있습니다.

    2) 볶음 요리

    • 감자처럼 볶아도 맛이 좋습니다.
    • 콜라비를 채 썰어 마늘, 간장, 참기름을 넣고 볶으면 고소하고 부드러운 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.

    3) 국물 요리

    • 된장국, 김치찌개에 활용: 감자 대신 콜라비를 넣으면 색다른 식감을 즐길 수 있습니다.
    • 장아찌로 활용: 콜라비를 얇게 썰어 간장이나 식초를 넣고 절이면 아삭한 반찬이 됩니다.

    4) 콜라비 주스

    • 콜라비와 사과, 당근을 함께 갈아 건강 주스로 마시면 영양이 풍부합니다.
    • 물 대신 우유나 두유를 넣으면 부드러운 맛을 즐길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4. 콜라비 보관법

    콜라비를 오래 신선하게 보관하려면 올바른 방법이 필요합니다.

    냉장 보관

    • 껍질째 보관할 경우: 랩이나 키친타월로 감싸 밀폐용기에 넣어 냉장 보관하면 2~3주 정도 신선함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껍질을 벗긴 경우: 밀폐용기에 담아 보관하며, 3~5일 내에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.

    냉동 보관

    • 콜라비를 깍둑썰기나 채썰기한 후 살짝 데쳐서 냉동 보관하면 장기간 보관이 가능합니다.
    • 냉동한 콜라비는 볶음 요리나 국물 요리에 활용하기 좋습니다.

     

    콜라비는 아삭한 식감과 단맛이 매력적인 채소로, 다양한 방법으로 즐길 수 있습니다. 껍질을 벗길 때는 감자칼이나 칼을 사용하고, 생으로 먹거나 볶음, 찌개, 주스 등으로 활용하면 더욱 맛있게 즐길 수 있습니다.

Designed by Tistory.